标题:29969释义来源 留言人:阝幻(访客) 2022年11月04日 13:39:47 【回复】 |
释义的出处在此网址:「𝕙𝕥𝕥𝕡𝕤://𝕕𝕓.𝕙𝕚𝕤𝕥𝕠𝕣𝕪.𝕘𝕠.𝕜𝕣/𝕚𝕕/𝕘𝕤𝕜𝕙_𝟘𝟘𝟛_𝟘𝟘𝟙𝟘_𝟘𝟘𝟠𝟘_𝟘𝟘𝟛𝟘」。 “𩥩人”的读音是“약인”。 从这个网站,找到了下列意未详字的释义。由于我不懂韩语,可能会有错误。 𠡐:《廣開土王陵碑》:“躬率住討叵富山負山至鹽水上破其三部落六七百當牛馬羣羊不可稱數於是旋駕因過𠡐平道東來” 𠬌:《삼국의 이름만 있고 그 위치가 상세치 않은 곳》:“병산(甁𠬌山)。”注:“중종간행본(중종간행본) 《삼국사기》에서는 𠬌로 되어있으나&2C; 《삼국사기》 新羅本紀 敬順王 4년조에서는 甁으로 나와 이를 교감하여 따랐다.” 𠸈:《여동이 벼락에 맞아 죽다 ( 662년 08월(음) )》:“몸 위에 ‘수악당(湏𠸈堂)’이라는 세 글자가 쓰여 있었다.”注:“수악당(湏𠸈堂): 수악당이 어떠한 의미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𢓛:《三國遺事 卷 第一》中“俅”字校勘:“서울대규장각본에는 𢓛로 되어 있다.” 𣁅:《三國史記 권 제37 잡지 제6》:“안정성(安【註 421】 定成)。”注:“중종간행본 《삼국사기》에서는 𣁅로 되어있으나&2C; 현종실록자본 《삼국사기》에서는 安으로 나와 이를 교감하여 따랐다.” 𥨯:《京畿道篇 6 : 忠淸道篇 1:忠淸道監營狀啓謄錄 3 :壬子五月二十九日》:“顧以臣之謏𥨯迂疎。” 𦖮:《三國史記 권 제20 고구려본기 제8》:“동이(東𦖮)。”注:“동이[도](東𦖮[道]) : 612년 고구려-수 전쟁 때 편성된 수의 군대로 우(右) 제10군(軍)이다. 치서시어사(治書侍御史) 육지명(陸知命)이 수항사자(受降使者)로 소속되었다. 동이(東𦖮)는 한(漢)대에 설치된 임둔군(臨屯郡)의 치소로&2C; 함경남도 덕원군으로 비정하기도 한다(이병도&2C; 1985&2C; 『韓國古代史硏究』&2C; 박영사&2C; 196-200쪽).” 恭喜这些字找到释义。 |
第1楼 标题:29969释义来源 留言人:湉渢 2022年11月18日 15:22:52 |
感谢! |